지난 16일 새벽 북한 남성 한 명이 잠수복과 오리발을 이용해 헤엄쳐, 동해안으로 월남했습니다. <br /> <br />군 감시 장비에 여러 차례 찍혔지만, 무용지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장관은 이튿날, 경계 실패를 인정하고 사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[서 욱 / 국방부 장관 (지난 17일) : 사람이 이 과학화 운용 시스템을 잘못 운용하면 이건 무용지물일 수도 있습니다. 그래서 전방에서 엄정한 작전 기강, 매너리즘 타파 이런 것 등에 대해서 정말로 부족함을 느꼈습니다.] <br /> <br />앞서 지난해 11월 북한 남성이 동부전선 철책을 넘어왔을 때도, 같은 해 7월 인천 강화도에서 탈북민이 월북했을 때에도 고개를 숙이긴 마찬가지였습니다. <br /> <br />[정경두 / 당시 국방부 장관 (지난해 7월) : (탈북민 월북 관련) 제가 백 번 지적 받아도 할 말이 없다고 생각합니다. 무한책임을 국방부 장관이 지고 있기 때문에, 소상하게 나중에 설명해 드리고 보완할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 2019년 북한 목선이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고 삼척항에 들어왔을 때는 정부 합동조사까지 진행됐습니다. <br /> <br />역시 경계 태세 확립과 재발 방지 약속이 뒤따랐습니다. <br /> <br />[정경두 / 당시 국방부 장관 (2019년 7월) : 경계작전 실패는 어떠한 경우에도 용납될 수 없는 중대한 과오입니다.] <br /> <br />이렇게 경계망이 뚫릴 때마다 군 당국이 내놓은 답은 한결같았습니다. <br /> <br />기강을 바로 세우고, 시설을 보완하면서, 장비를 개선하겠다는 것. <br /> <br />하지만 반복되는 다짐이 공염불이 되는 사례가 잇따르면서, 총체적인 시스템 점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럼 지난 16일 발생한, 북한 남성의 월남 사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. <br /> <br />군 당국이 오늘 조사 결과를 발표했는데, 총체적인 경계 실패가 드러났습니다. <br /> <br />국방부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김문경 기자! <br /> <br />먼저, 조사결과 내용부터 정리해주시죠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합동참모본부가 오늘 북한 남성의 월남사건에 대한 조사결과를 발표했는데요. <br /> <br />이 남성은 통일 전망대 부근 해안에 상륙한 뒤 붙잡히기 전까지 우리 과학화 감시 장비와 경계 장비에 모두 10번이나 찍힌 것으로 나타났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, 통일 전망대에서 5km 안팎 떨어진 민통선 제진 검문소 CCTV에 포착될 때까지 아무도 관심을 두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시간대별로 살펴보면 이 남성은 지난 16일 새벽 1시 5분에서 33분간 과학화 감시카메라 4대에 5차례나 등장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10223135311044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